- GIT 정의
- 어떤 사람은 상품, 어떤 사람은 유저에 대한 코딩을 했다면 그것을 한 번에 합치는 것
- 누가 어떤 파트를 맡아서 했는지 확인하는 역할
1번) git 저장소를 만들어야하므로 루트 디렉토리 파일(index.js)에 terminal 키고 git init 입력
이유:버전 관리를 해야하므로 !
2번)git status 입력해서 상태 확인하기
- Git의 위계
- 1. working directory
git add 를 terminal에 입력하면 모~든 파일들이 스테이징 공간으로 올려보냄.
- 2. staging area
하지만 node나 .json에 있는 라이브러리는 terminal에 npm install 하면 그것들만 따로 다운 받을 수 있음.
ex1) .gitignore 파일 만들고 안에 node_modules 입력하면 node 폴더는 안올라감. (너무 사사로운게 많음)
하지만, 벌써 git add를 해버린 상태라면 git rm --cached node_modules -r로 이전 상태 되돌리기기
*참고 cache 뜻은 캐시에 저장하다. 은닉하다.
ex2) "express","mongoose" 라이브러리 있는 파일 terminal에 npm install
- git repository(local) & git repository(remote) 이건 github를 의미함
git commit - m "Initial commit"을 통해서 저장소로 올려보냄
*참고: m은 메세지
오류 이유: 커밋 메시지를 입력하라는 Vim 텍스트 에디터 화면"에 들어가 있기 때문
git --version 오류 해결 방법 ★
: 환경 변수에 git 추가 안된 것
1. 제어판 -> 시스템 -> 고급 시스템 설정-> 환경 변수
2. 시스템 변수(s) 섹션에서 path 를 찾아 편집
3. git 설치 경로를 위와 같이 입력
4. terminal에서 git --version으로 git 명령 작동하는지 확인하기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노드] bodyparser& postman & 회원가입, 로그인 기능 만들기 (1) | 2024.11.24 |
---|---|
[노드]SSH 이용해서 GITHUB 연결하기 (github 소스 배포 방법) (0) | 2024.11.24 |
[노드] mongo DB Model & Schema (user 모델 만들기) (0) | 2024.11.23 |
[리액트]mongo DB 연결하기 (몽고 db 연결 에러 해결 tip) (1) | 2024.11.23 |
[리액트] NODE JS와 EXPRESS JS 다운로드 하기 (0) | 2024.11.23 |